-
이강훈 조교수
Lee Kang Hoon
-
소속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3
-
연구분야
환경공학
-
연구키워드
수처리(미량오염물질/HRAS) 폐기물 자원화 자산관리 시스템
수질환경연구실에서는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및 HRAS(High Rate Activated Sludge)와 같은 고도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수계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경량골재를 생산하는 폐기물 자원화 연구, 공공 인프라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를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한 체계적인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시스템 연구를 진행 중이다.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pollutants in water systems using advanced techniques such as 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and HRAS (High Rate Activated Sludge) is being conducted. In terms of carbon neutrality, efforts include recycling wastewater sludge to produce lightweight aggregates, systematic asset management to predict and control risks in public infrastructure.
-
소속학과
-
정동화 조교수
Jeong Dong-Hwa
-
소속학과
인공지능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908
-
연구분야
뇌공학, 의료인공지능
-
연구키워드
뇌과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디지털헬스 웨어러블 의료인공지능
뇌파를 활용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Computer Interface) 개발 및 신경 및 정신질환 분석 연구로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20년부터 가톨릭대학교에서 BRAIN Lab (Biomedical Researc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ural Engineering Laboratory)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과 함께 뇌전증 환자의 뇌파 분석을, KAIST와 함께 수면 뇌파 분석 및 뇌파 기반 로봇팔 제어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시선추적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심리치료, VR을 활용한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웨어러블 생체신호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ong-Hwa Jeong received his Master's and Ph.D.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 at KAIST,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brain-computer interfaces (BCIs) and EEG analysis of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Since 2020, he has been leading the BRAIN Lab (Biomedical Researc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ural Engineering Laborator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urrent Research and Research Interests: -EEG analysis for epilepsy -Sleep EEG analysis -EEG-based robotic arm control -Digital Psychology using Eye-tracking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using VR and motion tracking -Wearable biosignal analysis
-
소속학과
-
이오준 조교수
O-Joun Lee
-
소속학과
인공지능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4
-
연구분야
인공지능
-
연구키워드
그래프학습
이오준 교수는 2021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데이터사이언스학과에서 JA교수직도 함께 맡고 있습니다. 2019년 중앙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2015년 단국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가톨릭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 미래IT융합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이오준 교수의 주된 연구 분야는 그래프 마이닝 및 그래프 학습으로, 최근에는 그래프 신경망 모델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모델들을 분자 구조 분석, 소셜 미디어 분석, 기상 데이터 분석, 교통 흐름 분석 등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오준 교수는 2024년 8월 기준으로 SCI(E)급 국제 학술지에 32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국제 학술대회에서 3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AAAI, IJCAI와 같은 저명한 국제 학술대회 및 AIJ, IEEE IoT-J, IPM, JOI, FGCS 등 최상위 국제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O-Joun Le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Rep. of Korea since September 2021. He received Ph.D. degree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in 2019. He also received B.Eng. degree in Software Science from Dankook University in 2015. He was a full-time researcher at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 of Korea from September 2019 to August 2021.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graph mining, graph representation learning, and graph neural networks. He has applied graph mining models and methods to various unstructured data, such as social media, bibliographic data, medical knowledge bases, traffic flow data, molecular structures, etc.
-
소속학과
-
고근수 조교수
KeunsooKo
-
소속학과
인공지능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10
-
연구분야
인공지능
-
연구키워드
컴퓨터 비전
-
소속학과
-
권순재 조교수
Kweon Soon-Jae
-
소속학과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연구실
다솔관 D427
-
연구분야
전자공학
-
연구키워드
집적회로 마이크로시스템 융합 의료기기 웨어러블기기 사물인터넷
권순재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2010년도에 학사학위, 2018년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에는 KAIST와 New York University Abu Dhabi (NYUAD)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으며, 2023년 3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에 재직하며 MERIT(MicroElectronics based on Remarkable Integrated Circuits Technology) Lab을 운영하고 있다. 아날로그/혼성신호 집적회로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마이크로시스템을 융합하는 연구와 마이크로시스템을 통해 의료기기,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구현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KAIST, NYUAD 등 국내외 유수의 기관들과 활발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20편의 SCIE급 국제학술지에 게재하였으며, 24편의 논문을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다. SCIE급 국제학술지 Integration - the VLSI Journal,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it Theory and Applications의 Associate Editor로 활동 중이다.
Soon-Jae Kweon received a B.S. degree and a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aejeon, South Korea, in 2010 and 2018, respectively. After that, he worked as a postdoctoral associate at KAIST and New York University Abu Dhabi (NYUAD). Since March 2023,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leading the MERIT (Microelectronics based on Remarkable Integrated Circuits Technology) Lab. His research aims at integrating microsystems based on analog/mixed-signal integrated circuit design technology and developing medical devices, wearable devices, and IoT devices through those microsystems. He is actively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lea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AIST and NYUAD. He has published 20 SCIE journals and presented 24 paper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He is currently working as an Associate Editor of SCIE journals, Integration - the VLSI Journal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it Theory and Applications.
-
소속학과
-
권지석 조교수
Jiseok Kwon
-
소속학과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연구실
다솔관 D317
-
연구분야
전자공학
-
연구키워드
차세대 반도체 나노 소자 연구 [ 2-D FETs for VLSI Power Semiconductor Device New Memory Device ]
HZO 기반 고성능 저전력 반도체 디바이스 개발, ALD를 이용한 게이트 절연막 증착 연구, 2D 물질 소자에서 저주파 노이즈 분석 및 모델링, 차세대 전력 반도체 디바이스 (β-Ga2O3 기반) 연구등을 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차세대 나노소자를 이용한 뉴로모픽 소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미국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에서 2D 물질을 이용한 소자 개발 및 저주파 노이즈의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 과정 동안, 미국 Sandia Nantional Lab, NIST, SLAC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일했고, 2020년 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DRAM TD팀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소자개발을 했다. 담당 업무들은 10nm, 14nm DRAM 개발, NC-FETs 연구, DDR5, GDDR6, LP5 (High-k를 이용) 양산 개발 참여, 그리고 소자 신뢰성 측정 및 분석, 모델링을 진행했다. 2023년 3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에서 차세대 나노소자 연구실을 운영해 오고 있다.
Prof. Jiseok Kwon's research group primari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low-power semiconductor devices based on HZO, gate insulating film deposition technology using ALD, low-frequency noise analysis and modeling using 2D materials, and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based on β-Ga2O3. Recently, we are conducting research on optimization of OPC process using deep learning with Purdue University (U.S.A.). Prof. Kwon received his Ph.D. in 2019 from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USA), where he conducted research on device development using 2D materials and the analysis of low-frequency noise mechanisms. He has worked as a visiting researcher at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NIST, and SLAC in the United States. From February 2020 to February 2023, he worked as a principal researcher at Samsung Electronics Semiconductor R&D Center, DRAM TD team. His responsibilities included developing 10nm and 14nm DRAM, researching NC-FETs, participating in the mass production development of DDR5, GDDR6, and LP5 (utilizing High-k), and conducting reliability measurements, analysis, and modeling of devices. Since March 2023, Prof. Kwon has been leading the Advanced Nano Device Laboratory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소속학과